목록분류 전체보기 (182)
DB & AWS Knowledge
해당 페이지에서는 MySQL / MariaDB 의 파티션종류에 대해서 다룬다. 참조페이지 https://dev.mysql.com/doc/refman/5.7/en/partitioning.html MySQL / MariaDB 파티션 지원 범위 MySQL / MariaDB 는 타 DB 영역과 다르게 여러 스토리지 엔진을 지원한다. (가장 많이 쓰이는건 innoDB 다.) 이에 따라 사용하는 스토리지 엔진에 따라 파티션 생성가능 여부를 아래와 같이 확인 할 수 있다. # 단순 명령어로 조회 mysql> SHOW PLUGINS; +------------+----------+----------------+---------+---------+ | Name | Status | Type | Library | Licens..
해당 페이지에서는 PostgreSQL 의 ALTER 구문 중 RENAME 명령어에 대해서 다룬다. 참조 페이지 https://www.postgresql.org/docs/12/sql-altertable.html 연관 페이지 (해당 페이지를 읽기전 아래의 링크를 한번 읽고 오면 좋다.) 2021.06.21 - [MySQL/명령어] - MySQL/MariaDB 명령어 : RENAME TABLE 2021.03.08 - [PostgreSQL/기타 지식] - PostgreSQL / PPAS 테이블 rename 시 동일 인덱스 적용 가능 유무 2021.03.07 - [PostgreSQL/파티셔닝] - PostgreSQL 및 PPAS 간의 생성 차이 ALTER - RENAME 명령어의 의의 RENAME 은 말 그대로 ..
해당 페이지에서는 MySQL/MariaDB RENAME TABLE 에 대해서 다룬다. 참조 페이지 https://dev.mysql.com/doc/refman/5.7/en/rename-table.html 연관 페이지 (해당 페이지를 읽기전 아래의 링크를 한번 읽고 오면 좋다.) 2021.06.22 - [PostgreSQL/명령어] - PostgreSQL 명령어 : ALTER - RENAME RENAME TABLE 명령어의 의의 RENAME TABLE 은 말 그대로 테이블의 이름을 변경하는 명령어다. 개발이나 기타 테스트등의 목적으로 테스트 테이블을 생성하다보면, 테이블 이름을 잘못 명명했거나 내부 규정등의 기타 사유로 이름을 변경해야 할 경우가 있다. 물론 DROP TABLE 로 완전 삭제하고 다시 만드는..
이 페이지에서는 신규 서비스 용량 증설 프로젝트 수행 중 겪은 Connection Block 확인 및 조치사항에 대해서 다룬다. 참조 페이지 https://dev.mysql.com/doc/refman/5.7/en/host-cache.html#blocked-host 이 프로젝트의 개요는 아래와 같다 2021.06.17 - [수행 프로젝트 및 회사 업무 일지/MySQL] - 신규 서비스 용량 증설 및 고도화 프로젝트 - 개요 해당 프로젝트에서 기존 운영서버의 증설을 위하여 AP 서버들을 증설하는 작업에 대해서 지원을 하는 업무가 있었다.새벽에 개발자들이 AP 서버들을 증설하여 구축 하는 중 아래와 같은 에러로 인하여 DB 서버에 AP 서버를 연결하지 못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지원요청을 했었다. (해당 에러..
이 페이지 에서는 필자가 참여했던 프로젝트 중 하나인 신규 서비스 용량 증설 및 고도화 프로젝트에 대한 개요를 다룬다. 신규 서비스 개요 이 서비스는 기업이 고객들에게 각 통신사를 거쳐 기업 브랜드, 서비스 MMS 등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다.올해부터 해당 서비스의 고객 유치 확장을 목적으로 서비스내 서버들에 대한 증설 및 고도화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되었는데 해당 프로젝트의 기술적인 목표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현재 운영중인 서버들의 Scale-up, Scale-out 을 통한 서버들의 서비스 부하 수용 가능량 증가 - 추가 서버 구성 zone 을 통한 서비스 수용 이중화 서버의 구성도는 아래와 같다. (세부 서버 구성은 대외비이므로 간략 구조로 기재) 이 서비스는 처리 이력 보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02Mj/btq7iRoM9Ph/ZpSa9MXPFp6aqDlcii4H6k/img.png)
이 페이지에서는 엑셀에서 자주쓰이는 기능중의 하나인 서식 복사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엑셀을 사용해서 일을 하다보면 표나 기타 양식들에 같은 서식들을 적용해야 할 때가 있다. 간단한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왼쪽표는 테두리가 만들어져있지만 오른쪽은 그냥 데이터만 있다. 오른쪽이 단순한 표라면 테두리를 만들면 되지만 실무에서 쓰이는 표는 이거보다 훨씬 복잡하다. 그래서 이럴 때는 서식복사를 필수적으로 쓰는것이 좋다. 왼쪽표에서 1이 적힌 셀 (Excel 에서 데이터가 기재되는 1칸의 명칭) 만 클릭 후 서식복사를 누르면 점선으로 바뀐다. 이 상태에서 오른쪽에 1이 적힌 셀만 누르면 해당 셀만 테두리가 복사 된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이렇게 일일히 한셀씩 복사를 하는 건 비효율적입니다. 이번엔 아래와 같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