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82)
DB & AWS Knowledg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WjDm/btq1pzfZDty/vZEk2Xf6FZkVZ54n5LiMZK/img.png)
해당 페이지에서는 MySQL / MariaDB 기본 아키텍처 중 InnoDB data 영역에 대하여 다룬다. 참고자료 및 사진출처 dev.mysql.com/doc/refman/5.7/en/innodb-architecture.html myinfrabox.tistory.com/49 minsql.com/mysql/mysql-innodb-architecture-change-buffer/ lalitvc.wordpress.com/2017/08/28/mysql-5-7-innodb-tablespace/ 엔진영역에서 설명 했듯, MySQL / MariaDB 는 타 RDBMS 와는 다르게 데이터 영역에 대한 아키텍처가 DB 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엔진에 따라 다르다. 그래서 이 페이지에서는 다양한 데이터 엔진 중 가장 많이..
해당 페이지에서는 Postgresql / PPAS 기본 아키텍처 중 엔진영역에 대하여 다룬다.(그림 출처 및 참고 사이트)https://kimdubi.github.io/postgresql/psql_architecture/https://www.interdb.jp/pg/pgsql05.htmlhttp://ugenssnc.com/cloud3-3.html PostgreSQL / PPAS 는 공식 Doc 에 공식 아키텍처 도식이 없기에 외부에서 그나마 잘 작성된 아키텍처 도식 2개를 같이 올린다. 각 도식에 빠진 부분은 아래에 일괄적으로 설명하겠다. 타 RDBMS 의 기본구조인 Engine + Data 영역과 유사하게 Mysql , MariaDB 도 Engine 영역, Data 영역으로 나뉜다.또한 Post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z4JL/btq0qAU421V/o3LAgairCIJeMKDXg58LDK/img.png)
해당 페이지에서는 버퍼 & 캐시 개념에 대해서 알아본다. (참조페이지) dololak.tistory.com/84 process0modesty.tistory.com/357 wikidocs.net/65523 버퍼 (Buffer) 두 장치간에 입출력 속도차이로 인한 처리 지연을 방지하지 위하여 도입된 개념이다. 아래의 예시를 보면 기존 컴퓨터, 서버에는 저장장치인 Disk 와, 연산장치인 CPU 가 있다. 디스크는 CPU 와 비교하면 비교가 안될 정도로 느리다. (해당 예시는 쉬운 예시를 위하여 단순 숫자로 표기) 그래서 1개의 연산 데이터를 읽어들여 CPU 에 보낼 때, CPU 는 이에 따라 분당 100개의 데이터를 처리 할 수 있어도 디스크로 인하여 1개의 데이터를 처리 할 수 밖에없다. 이 때 CPU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ARQJ/btqZ6ksoPOW/91OPxc6CZsPzGXKPdIMDOK/img.png)
해당 페이지에서는 MySQL / MariaDB 의 쿼리 기본 실행과정을 알아본다. (참조페이지 및 그림출처) rastalion.me/mysql-%EC%BF%BC%EB%A6%AC-%EC%8B%A4%ED%96%89-%EA%B5%AC%EC%A1%B0/ shashwat-creator.medium.com/mysqls-logical-architecture-1-eaaa1f63ec2f 해당 페이지를 보기 전 MySQL / MariaDB 엔진의 기본 아키텍처를 확인하고 오면 좋다. 2021.03.12 - [MySQL/아키텍처 및 내부 구조] - MySQL / MariaDB 기본 아키텍처 (Engine) MySQL / MariaDB 는 내부적으로 클라이언트가 쿼리를 수행 시, 아래와 같은 개요로 처리 된다. Query C..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2mqgR/btqZYlX7OO3/XHMtoYeHeYtWBvWh2GWA8K/img.png)
해당 페이지에서는 MySQL / MariaDB 기본 아키텍처 중 엔진영역에 대하여 다룬다. (참고 사이트) https://mysqldba.tistory.com/2 https://dev.mysql.com/doc/refman/8.0/en/pluggable-storage-overview.html https://dansjkim.github.io/posts/database-execution-plan https://lannstark.tistory.com/21 https://developpaper.com/mysql-innodb-storage-engine-exploration/ mysqlserverteam.com/mysql-connection-handling-and-scaling/ dung-beetle.tistory...
해당 페이지에서는 PostgreSQL / PPAS 에서 사용하는 인덱스 종류를 다룬다.(참조 링크 : hub.packtpub.com/6-index-types-in-postgresql-10-you-should-know/)(참조 링크 : postgresql.org/docs/13/indexes-types.html)(참조 링크: 각 인덱스별 설명 사이트)medium.com/postgres-professional/indexes-in-postgresql-5-gist-86e19781b5db, habr.com/ru/company/postgrespro/blog/446624/habr.com/ru/company/postgrespro/blog/448746/habr.com/en/company/postgrespro/blog/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