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B 관련 지식/DB 연관 IT 개념 (10)
DB & AWS Knowledge
해당 페이지 에서는 인증과, 인가개념에 대해서 다룬다. 참고페이지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wnrjsxo&logNo=221727680845 - https://limetok.tistory.com/218 - https://myanjini.tistory.com/entry/03-%EC%8B%9D%EB%B3%84-%EC%9D%B8%EC%A6%9D-%EC%9D%B8%EA%B0%80-%EC%B1%85%EC%9E%84%EC%B6%94%EC%A0%81%EC%84%B1 인증 (Authentication) 어떤 주체가 객체 (혹은 시스템) 에 접근을 할 때, 해당 객체를 사용할 주체가 누구인지를 스스로 밝히는 행위를 뜻한다...
해당 페이지 에서는 가상화의 개념에 대해서 다룬다. 참조 페이지 https://www.redhat.com/ko/topics/virtualization/what-is-virtualization https://pearlluck.tistory.com/121 https://kiyoo.tistory.com/26 가상화란? 가상화란 하나의 물리적인 서버등의 장비를 내부적으로 독립된 여러 공간으로 나누어 만들고 (가상의 공간), 그 공간들에 각각의 소프트웨어들을 구성하는 기술을 뜻한다. 가상화 구조를 생각하지 않고 외부적으로 봤을 때는, 각각의 소프트웨어들이 각각의 서버에서 운영되는 것으로 보인다. 가상화의 의의 가상화는 서버자원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 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예를 ..
해당 페이지에서는 프로토콜에 대해서 다룬다. 참고 서적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구조 (제이펍) 참고페이지 https://it.donga.com/31842/ https://ko.wikipedia.org/wiki/%ED%86%B5%EC%8B%A0_%ED%94%84%EB%A1%9C%ED%86%A0%EC%BD%9C 프로토콜이란? 우리는 현재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과 함께 살고있다. 이에 따라 사용하는 언어도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 우리가 미국에 가서 미국사람에게 우리말로 대화를 시도하면 그 사람이 알아들을 수 있을까? 당연히 그게 안되니 영어를 익혀서 가는 것일 것이다. 반대로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오면 한국어를 익혀서 대화 해야 하는것도 같은 개념이다. 우리는 특정 사국가나 집단에서 상호간 소통을 하기 ..
해당 페이지에서는 인프라 아키텍처에 대해서 다룬다. 참고 서적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구조 (제이펍) 아키텍처의 의의 인프라 시스템은 단순히 나열로 세워서 되는게 아니다. 건물을 지을 때, 어떤 계획없이 세우지 않고 설계를 한 후, 그에 따라 건물을 짓는 것 처럼 인프라 시스템도 어떠한 구성으로 만들지 설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 구상하는 혹은 구성된 구조를 아키텍처 (architecture) 라 한다. 잘못된 설계로 건물을 지으면 나중에 붕괴등의 문제로 대참사가 일어 나는 것 처럼, 인프라 시스템도 설계가 잘못되면 돌이킬 수 없는 서비스 장애를 겪을 뿐더러 부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려워 처음부터 다시 뒤엎을 수도 있는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아키텍처의 종류 아키텍처는 ..
해당 페이지에서는 3 계층 (3 Tier) 구조에 대해서 다룬다. 참조페이지 https://m.blog.naver.com/limoremo/220073573980 https://www.stevenjlee.net/2020/05/08/%EC%9D%B4%ED%95%B4%ED%95%98%EA%B8%B0-3%EA%B3%84%EC%B8%B5-%EA%B5%AC%EC%A1%B0-3-tier-architecture/ 개요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IT 서비스들은 흔히 말하는 서버들에 구성이 되어있다. 보통 이러한 서버들의 구성은 전통적으로 방식으로 따르는 3개의 계층 으로 구현이 된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만드는 3개의 계층을 3 계층 (3 Tier) 구조라고 한다. 실무에서는 3계층 보다 3 Tier 로 영..
이번 페이지에서는 고가용성에 대해서 다룬다. 참조페이지 https://www.stevenjlee.net/2020/06/28/%EC%9D%B4%ED%95%B4%ED%95%98%EA%B8%B0-%EA%B0%80%EC%9A%A9%EC%84%B1-availability-%EA%B3%BC-%EA%B3%A0%EA%B0%80%EC%9A%A9%EC%84%B1-high-availability/ https://itwiki.kr/w/%EA%B3%A0%EA%B0%80%EC%9A%A9%EC%84%B1 https://honggg0801.tistory.com/39 https://ko.wikipedia.org/wiki/%EA%B3%A0%EA%B0%80%EC%9A%A9%EC%84%B1 https://umount.net/lag-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