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AWS (67)
DB & AWS Knowledge
이 페이지에서는 TLS/SSL 접속시에 필요한 RDS 및 Aurora Cluster 내 Certificate authority (CA) 에 대한 개념 및 이를 사용 시, 알아두어야 할 사항에 대해서 다룬다. 해당 글은 아래의 공식 Document 를 참고한다. [1] https://docs.aws.amazon.com/AmazonRDS/latest/UserGuide/UsingWithRDS.SSL.html RDS, Aurora Cluster 내 TLS / SSL 에 대한 지원 기본적으로 RDS, Aurora Cluster Service 는 사용자들에게 보안접속을 제공하며 이를 위해서 client 에서 DB 에 접속 시, 보안 소켓 계층(SSL) 또는 전송 계층 보안(TLS) 을 이용 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이 페이지에서는 AWS 서비스의 Service Quota 에 대한 개요 및 이에 대해서 사용자가 증설 신청시 주의 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 다룬다. 해당 글은 아래의 공식 Document 를 참고한다. [1] https://docs.aws.amazon.com/ko_kr/general/latest/gr/aws_service_limits.html [2] https://docs.aws.amazon.com/ko_kr/general/latest/gr/aws-service-information.html [3] https://aws.amazon.com/ko/getting-started/hands-on/request-service-quota-increase/ AWS Service Quotas 개념 AWS 서비스는 클라우..
이 페이지에서는 RDS 및 Aurora Cluster 에서 Performance Insight 를 사용 시, lock 등의 주요 대기 상태등의 관리가 필요한 지표가 어떤 게 있는지 다룬다. 해당 내용은 아래의 공식 문서를 참조하여 기재한다 - 공식 문서 [1] https://docs.aws.amazon.com/AmazonRDS/latest/AuroraUserGuide/AuroraMySQL.Managing.Tuning.wait-events.html [2] https://docs.aws.amazon.com/AmazonRDS/latest/AuroraUserGuide/AuroraPostgreSQL.Tuning.html 또한 이전 게시글중에서 아래의 개시글을 먼저 읽고 오면 좋다. - 이전 게시글 2022.05...
해당 페이지에서는 RDS Proxy 를 사용 시, 이에 대한 비용 산출 기준에 대해서 다룬다. 이 내용은 아래 Document 와 연관이 있다. [1] https://aws.amazon.com/ko/rds/proxy/pricing/ [2] https://aws.amazon.com/rds/pricing/?nc1=h_ls [3]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RDS/latest/UserGuide/rds-proxy.howitworks.html RDS 및 Aurora Cluster 를 사용시에는 해당 사항에 대한 인스턴스 비용 산출기준에 대하여 다양한 요소들이 명확하게 기준되어 정리된다. 그러나 RDS Proxy 는 필수불가결로 써야 하는 필수 기능이 아니다 보니 이에 ..
해당 페이지에서는 성능 테스트 프로그램등으로 RDS, Aurora Cluster 에서 성능 테스트를 할 때 운영 서비스 이외에 확인 하는 사항들에 대하여 다룬다.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성능 테스트의 의의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환경에 상관 없이 성능 테스트는 항시 수행되는 작업이다. 일반적으로 온프레미스에서 성능 테스트를 수행하면 주로 리소스 spec, 실제 운영서비스의 부하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RDS, Aurora Cluster 에서 성능 테스트의 의의 RDS, Aurora Cluster 에서는 여기에 덧붙여 추가로 성능 테스트를 통하여 고려되는 사항이 추가 된다. - Instance class 별 성능 RDS, Aurora Cluster 에서는 온프레미스와 다르게 cpu, 메모리 사용을 부분적으..
해당 페이지에서는 RDS 및 Aurora Cluster 에서 각각 Replica, Reader 를 사용시 발생 할 수 있는 Replica Lag 및 instance type 의 연관성에 대하여 다룬다. 또한 이 게시글은 AWS re:post 의 내용과 연관되어 있다. [1] https://repost.aws/ko/knowledge-center/aurora-mysql-read-replicas RDS, Aurora Cluster 에서의 데이터 동기화 방식 Replica Lag 는 단어 그대로 replication 이 얼마나 지연 되었는지 알 수 있는 Cloudwatch 내 지표다. RDS, Aurora Cluster 에서는 우리가 온프레미스에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replication 지연을 기본으로 추가적..